
패스 오브 엑자일의 고유한 특징 중 하나는 바로 리그제 시스템입니다. 주기적으로 새로 시작되는 새로운 리그가 곧 고유한 보상으로 이어지고, 이같은 리그 컨텐츠는 해당 리그 종료 이후 개발진의 판단에 따라 추후 게임 시스템에 편입되곤 합니다.
3.17 강적(Archnemesis) 리그에서는 새로운 몬스터의 속성이 추가되었고, 이는 몬스터가 기존에 가지고 있던 마법·희귀 속성을 대체한 강적 속성으로 시스템에 편입되었습니다. 물론 모든 리그 컨텐츠가 시스템에 편입되는 것은 아니라서, 타락한 아이템에 추가 옵션을 부여할 수 있었던 3.16 스컬지(Scourge) 리그 컨텐츠는 리그 종료 후 삭제되었으며, 이후 정규 게임 내에 컨텐츠로 편입될 계획이 없다고 개발진이 이미 못박은 바 있습니다.
군단(Legion) 컨텐츠만의 고유 보상, 무궁한 주얼(Timeless Jewel)

이같은 측면에서, 군단(Legion) 리그의 컨텐츠는 비교적 잘 보존되어 현재까지 계승되어오고 있습니다. 맵핑 도중 만나는 군단 기둥을 플레이어가 활성화하면, 즉시 군단 기둥 근처에 '잠든' 상태의 군단 몬스터가 생성됩니다. 이를 플레이어가 공격하여 깨운 후 다시금 깨어난 군단 몬스터와 맞서는 추가 전투가 이어집니다. 이후 다양한 군단 파편을 얻을 수 있고, 이 파편을 모아 상징을 만들면 플레이어가 군단의 본거지로 진입해 본격적인 전투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전 '군단 버스를 타기 전에 준비해야 할 것' 포스트에서 다루었던 바로 그 전투의 현장입니다. 이 전투를 통해 플레이어는 다양한 보상을 얻을 수 있는데, 군단 컨텐츠에서만 얻을 수 있는 대표적인 고유 보상은 흔히 '군단 주얼'이라 불리는 다음 다섯 가지 종류의 '무궁한 주얼'입니다.
![]() |
![]() |
![]() |
![]() |
![]() |
잔인한 속박 (Brutal Restraint) |
고상한 오만 (Elegant Hubris) |
찬란한 허영심 (Glorious Vanity) |
치명적인 긍지 (Lethal Pride |
호전적인 신념 (Militant Faith) |

무궁한 주얼은 여타 주얼과 다르게 그 자체의 효과가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위 예시 이미지에 빨간 테두리로 표시해둔 곳은 해당 주얼에 신성한 오브를 사용하는 경우 값이 달라질 수 있는 속성 수치입니다. 그리고 이 값에 따라 해당 주얼을 패시브 트리에 장착했을 때 주변 패시브 노드들의 효과가 랜덤하게 달라지게 됩니다. 노드의 크기와 관계없이, 심지어 키스톤 노드까지도 그 효과가 바뀌는 것입니다. 그러나 키스톤 노드의 경우 '지바콰', '도리아니' 등 속성 수치의 앞 부분에 따라 변화하는 키스톤 노드의 변화폭이 매우 제한적이었으므로 예측이 크게 어렵지는 않았습니다. 결국, 지금까지는 모든 플레이어들이 소형 패시브 노드까지 충분히 원하는 옵션을 얻기 위해서는 무궁한 주얼에 신성한 오브를 하염없이 바르다가 적당한 선에서 타협하는 것만이 유일한 방법이었습니다. 한 가지 주얼에서만 수 만 가지의 패시브 옵션이 발생 가능하므로 사실상 무궁한 주얼의 패시브 옵션은 랜덤이라고 볼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무궁한 주얼의 작동 원리(Here's how Timeless Jewels work)
그러나 최근, 무궁한 주얼이 패시브 노드를 변화시키는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가 마무리된 듯 합니다. 며칠 전 레딧에 올라온 'Here's how Timeless Jewels work'라는 게시글이 그것입니다. 이 게시글에 따르면 무궁한 주얼이 패시브 노드를 변경하는 매커니즘에 대해 연구를 마쳤다고 합니다. 그 원리에 대해서도 매우 상세히 기술하고 있으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원문을 직접 읽어보셔도 좋겠습니다.
그런데 일반적인 절대 다수의 플레이어들은 자세한 원리까지는 알 필요가 없습니다. 결국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당장 나의 패시브 트리에 어떤 무궁한 주얼을 장착할 것인가'가 핵심입니다. 그동안 거래소에서 타락된 상태의 무궁한 주얼은 거의 거래되지 않는 무용지물 아이템이었으나, 굳이 커런시를 지불하지 않고서도 패시브 트리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이 생겼으니, 유저는 이를 시뮬레이션해본 후 필요하다면 적정한 가격을 지불하고 타락된 상태의 무궁한 주얼 역시 확신을 가지고 구매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여타 아이템들을 거래할 때와 마찬가지로 말입니다.
PoEDB를 통한 시뮬레이션
역시 패스 오브 엑자일과 관련해서는 백과사전 격의 역할을 하는 PoEDB 사이트에 해당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툴이 업로드되었습니다. PoEDB 무궁한 주얼 시뮬레이터 링크를 통해 들어가시면 되고, 메인 페이지에서는 상위 메뉴의 'Tools → 무궁한 주얼' 경로를 통해 해당 시뮬레이터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시뮬레이터의 기본적인 모습입니다. 아직 이 부분은 한글화되지 않았으므로 모든 부분을 영어로 입력하여야 합니다. 키스톤 노드(Notable)의 변화를 알고자 한다면 해당 무궁한 주얼의 이름과 번호만 입력하면 됩니다.
그 아래 Seed 부분을 보면 보다 자세하게 소형 및 주요 패시브 노드들의 변화 정보까지 알 수 있습니다. 키스톤 노드(Notable) 부분에서와 마찬가지로 무궁한 주얼의 이름과 번호를 입력한 후, 해당 주얼에 기록된 지배자 이름과 트리에 장착된 위치를 입력하면 됩니다. 지배자 이름이라는 것은, 무궁한 주얼에 '○○○의 이름으로' 부분을 보시면 됩니다. 위에서 예시로 보여드린 찬란한 허영심(Glorious Vanity) 주얼의 경우, '지바콰의 이름으로 희생된'이라고 써있습니다. 이 때 지배자 이름은 지바콰(Xibaqua)인 것입니다.
아래는 시뮬레이션 예시입니다. 흔히 '도리아니 주얼'이라 불리는, 찬란한 허영심 중 지배자가 도리아니인 주얼 중 번호가 2315인 주얼을 고통의 조율(Pain Attunement) 부근 주얼 슬롯에 장착하는 경우를 보고자 합니다.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아래와 같이 총 4가지의 요소를 모두 입력하면 됩니다.


입력해야하는 값들을 제대로 입력했다면, 위와 같이 어떤 노드의 옵션이 기존(Orig)과 다르게 어떻게 변화(New)하는지 보여줍니다. 이것을 각각 확인하면 되고, 스크롤을 아래로 쭉 내려보면, 실제 패시브 트리와 같은 모양에서 직접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가시성 또한 매우 좋은 편입니다. 패시브 트리 모양에서 옵션을 살피게 되면, 주요 패시브 노드의 옵션이 상시 노출되며, 소형 패시브 노드 옵션은 해당 노드에 마우스 포인터를 가져다 대면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전용 툴 Timeless Jewel Finder
주얼의 정보를 아는데, 패시브 노드의 정보를 모를 때라면 위의 PoEDB 사이트 툴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막상 내가 캐릭터를 육성함에 있어서는 특정 옵션을 먼저 필요로 하고, 그에 따라 주얼을 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때 사용할 수 있는 도구가 바로 Timeless Jewel Finder 입니다. 이 도구는 GitHub을 통해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사용법 또한 개발자가 직접 업로드하기도 했으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다만, 찬란한 허영심(Glorious Vanity) 주얼은 과정이 다소 복잡해 현재에도 개발 중이라고 합니다.)
GitHub - KeshHere/POE-Timeless-Jewel-Finder: Find the best timeless Jewel seed for your needs in POE
Find the best timeless Jewel seed for your needs in POE - GitHub - KeshHere/POE-Timeless-Jewel-Finder: Find the best timeless Jewel seed for your needs in POE
github.com

사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Choose Passive skills' 부분에 변화될 패시브 노드들의 이름을 모두 적어준 후, 'Choose Timeless Jewel' 부분에 내가 장착할 무궁한 주얼의 종류를 고릅니다. 여기에서는 예시로 치명적인 긍지(Lethal Pride)를 골라보겠습니다. 그리고 그 아래에 내가 원하는 옵션을 선택하여 추가(Add)한 후, 좌측의 'GO!' 버튼을 눌러 검색 결과를 기다리면 되는 것입니다. (다만 이 때, 원하는 패시브 노드의 이름을 모두 영어로 검색하는 것이 매우 귀찮은 일입니다. 잠깐 패스 오브 엑자일 클라이언트의 언어를 영어로 바꾸어 다시 실행한 후, 노드의 이름을 클라이언트 내에서 확인하는 편을 추천합니다.)
위 예시는 더블 데미지 5개 이상과 힘 옵션이 같이 있는 최상급 무궁한 주얼을 검색한 결과입니다. 검색 결과 13981번만 나왔으므로, 거래소에서 해당 번호가 붙은 치명적인 긍지 주얼을 검색하면 됩니다.

위와 같이 치명적인 긍지에 붙을 수 있는 지배자 이름을 모두 넣은 후, 해당 번호를 가지고 있는 무궁한 주얼을 직접 검색하는 것입니다. 이 때 무궁한 주얼에 따라 붙을 수 있는 지배자 이름을 모두 검색하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이 종류는 PoEDB에서 확인할 수 있고, 아래는 해당 내용의 스크린샷입니다. (우측 핵심노드 열 확인)

마치며
이제 거래소에 무의미하게 방치되어 있던 타락한 상태의 무궁한 주얼들도 거래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군단 컨텐츠를 좋아하는 분들이 군단 주얼을 획득할 때마다 주변 지인들을 통해 해당 주얼을 특정 트리 위치에 꽂았을 때 어떤 옵션이 어떻게 바뀌는지 일일이 물어볼 필요도 없어졌습니다. 이는 일부 유저층에게는 플레이에 있어 쾌적함을 극대화해주는, 아주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러나 이를 과연 긍정적으로만 볼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군단 리그가 패스 오브 엑자일에 등장한지 이미 2년이라는 시간이 지났고, GGG 개발진은 끊임없이 플레이어들을 위한 편의성 패치를 진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유저들은 게임 외부 툴에 대한 의존도가 끝없이 올라가고 있는 상황이라는 사실을 다시금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유저들은 수확 크래프팅, 각종 벌크 아이템, 챌린지 등을 거래하기 위해서는 TFT라는 외부 디스코드 채널을 활용하는 것이 사실상 가장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빌드의 기반이 되는 각종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계속해서 PoEDB 사이트를 뒤적거려야 합니다. 게임에 대한 지식이 충분하다 하더라도 실제로 빌드를 짜면서는 하루종일 Path of Building(POB) 애드온을 활용해야만 합니다. 하다못해 POB를 활용하지 않으면 내 캐릭터의 실질적인 치명타 확률조차 기본 클라이언트에서 제대로 보여주지 않습니다.
이렇게 플레이어들이 실질적으로 외부 애드온에 대해 의존도가 높아진다는 것은 곧, 신규 유저의 진입장벽이 높아져만 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3.15 탐험(Expedition) 리그 이후 게임에 유입되는 신규 유저들은 큰 폭으로 줄어들었으며, 이번 3.18 파수꾼(Sentinel) 리그 역시 강적 옵션의 편입으로 캐릭터 육성 전반의 난이도가 대폭 상승해 마치 신규 유저의 유입을 배척하는 듯한 방향으로 끊임없이 패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과연 이같은 동향이 바람직한 결과를 낳을 수 있을까요? 과연 이같은 개발 방향이 이어진다면, '디아블로 4'와 경쟁하게 될 '패스 오브 엑자일2'는 충분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지요? 추억의 '디아블로 2'가 별다른 시스템 변화 없이 그래픽만 리마스터링하였음에도 패스 오브 엑자일 유저의 상당수가 이탈한 바 있는데, 앞으로도 오랜 기간 패스 오브 엑자일이 제대로 서비스될 수 있을지 지켜보아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