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패스 오브 엑자일에는 다양한 크래프팅 방식이 존재합니다. 커런시를 직접 아이템에 사용할 수도 있고, 화석·에센스 등을 사용하기도 하며, 야수관 등 리그 컨텐츠 자체가 크래프팅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수확(Harvest) 역시 리그 컨텐츠가 아이템 크래프팅에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는 경우입니다. 그리고 신성한 숲에서 얻을 수 있는 수확 크래프팅은 반드시 바로 써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 푸르미 제작소에 저장해두었다가 필요한 때에 꺼내 쓸 수 있습니다.

이러한 수확 크래프팅은 다양한 크래프팅 방식 중 하나일 뿐 아니라, 많은 경우에 있어서 보다 합리적인 선택지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플레이어 입장에서 특정 태그를 기반으로 재련·부여 등의 크래프팅을 손쉽게 진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같은 크래프팅 역시 거래의 대상이 되는데, 이는 게임 외적인 커뮤니티(카페, TFT 등)를 통해 거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바로 이같은 경우 수확 크래프팅의 거래를 용이하게 만들어주는 툴이 바로 Harvest Vendor 입니다. 이 툴은 GitHub을 통해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가장 좋은 점은, 한국어를 따로 지원한다는 점입니다. 여러 가지 버전 중, 뒤에 'korean'이 달린 버전을 골라 Asset 중 'PoE-harvestVendor-EXE-First_Install.zip' 파일을 다운로드 하면 됩니다. fork 버전이나 light 버전 등은 한국어를 따로 지원하지 않으므로, 반드시 korean 버전을 다운로드해야 합니다.
Releases · Stregon/PoE-HarvestVendor
Tool for getting the list of crafts out of Horticrafting station in Path of exile - Stregon/PoE-HarvestVendor
github.com

처음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프로그램의 사용법이 자세하게 안내됩니다. 간단히 요약하자면, 푸르미 제작소를 열고 크래프팅을 스캔(Ctrl+G)한 후, Harvest Vendor에 등록된 크래프트를 확인하고 이를 TFT 채널에 업로드하는 과정이 전부입니다.
크래프트를 스캔할 때는 반드시 이미지에서와 같이 텍스트 부분만을 골라 스캔하여야 인식률이 높아집니다. 크래프팅에 있어 수확 크래프트 레벨 또한 중요하므로 이 또한 누락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수확 크래프트 레벨의 +10까지의 아이템 레벨을 가진 아이템만 크래프팅 가능. 예를 들어, 수확 크래프팅 레벨이 74라면, 아이템 레벨 85인 반지는 크래프팅할 수 없습니다.)

만약 제대로 스캔되지 않는다면, 우측 이미지에서와 같이 자동 완성 기능을 활용해 크래프트를 등록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각종 줄임 표현에 익숙하지 않다면 가급적 스캔을 통해 등록하는 편을 권장합니다.
크래프팅을 스캔하면, 거래에 용이하도록 스캔된 내용이 영어로 출력됩니다. 예를 들어 '화염 저항을 부여하는 속성 1개를 냉기 저항을 부여하는 비슷한 등급의 속성으로 변경' 크래프팅은 'Fire to Cold Resist'로 번역되는 식입니다. 이처럼 모든 스캔을 끝마쳤다면, '크래프트 목록복사' 버튼을 누른 후, 디스코드 TFT 채널의 'harvest-wts' 채널에 붙여넣기하면 됩니다.

지금까지의 과정을 성공적으로 따라오셨다면, 디스코드 채널에 이처럼 깔끔하게 정리된 게시글이 업로드됩니다.
수확 크래프팅을 거래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확인(Confirm)의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재련(Reforge)과 수치 변경(Reroll)을 헷갈린다거나, 접두사(Prefix)와 접미사(Suffix)를 헷갈리는 등 실수가 발생하는 경우 미러급 아이템도 한 순간에 휴지 조각이 될 수 있는 것이 바로 수확 크래프팅이기 때문입니다.
- TFT harvest-wts 채널에 판매글을 올린다.
- 구매자가 wtb 내용으로 귓속말을 보내온다.
- 판매자(나)의 은신처에서 거래를 통해 크래프팅의 대상이 되는 아이템을 받는다.
- 크래프팅 전에 귓속말로 해당 아이템을 링크하며, '(크래프트 내용) cf?' 귓속말을 다시 보낸다.
- yes, cf, confirm, ok 등 긍정의 표현이 귓말로 오면 해당 크래프팅을 진행한다.
- 크래프팅 완료된 아이템을 다시 거래로 보낸다.
크래프팅 판매액은 3 또는 6 과정 언제 받아도 상관 없습니다. 다만, 수치 변경(Reroll)의 경우 수 차례 반복 진행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보통 크래프팅이 완료될 때마다 아이템 링크를 귓속말로 보내고, 최종적으로 크래프트 완료된 아이템을 보내며 총액을 한꺼번에 정산받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