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흥미로운 의학 이야기

난각막(Eggshell Membrane), 무릎 골관절염 치료에 도움 준다

반응형
Ruff KJ, Winkler A, Jackson RW, DeVore DP, Ritz BW. Eggshell membrane in the treatment of pain and stiffness from osteoarthritis of the knee: a randomized, multicenter,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study. Clin Rheumatol. 2009 Aug;28(8):907-14. doi: 10.1007/s10067-009-1173-4. Epub 2009 Apr 2. PMID: 19340512; PMCID: PMC2711914.

신체에는 정말 많은 관절들이 있고, 이 중 일부 관절에 염증이 발생한 상태를 관절염(Arthritis)이라 부릅니다. 관절염 중에서 가장 유병률이 높은 경우가 골관절염(OA; Osteoarthritis)[각주:1]이며, 그 중에서도 만성 장애(Chronic disability)와 직결되는 주요 유형 중 하나가 바로 무릎 골관절염(Knee OA)[각주:2]입니다.

한편, 난각막(NEM, Natural Eggshell Membrane)은 흔히 달걀껍질 막이라 불립니다. 삶은 달걀 껍데기를 벗길 때 딱딱한 껍데기와 붙어있는 얇고 부드러운 껍질이 바로 난각막입니다. 난각막은 주로 콜라겐의 형태를 띤 단백질로 구성되며, 황산콘드로이틴(chondroitin sulfate)과 같은 글리코스 아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과 글루코사민(Glucosamine) 등의 영양소를  포함[각주:3]합니다. 이같은 영양 성분은 무릎의 관절 연골 및 주변 활액막을 온전히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성분들이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미지 : 해외에서 판매되는 Webber Naturals, Glucosamine 500mg Chondroitin 400mg with Vit D3 333.33IU 300 capsules 제품)

연구진은 난각막의 이같은 성분이 무릎 골관절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운 후, 이미 흔히 활용되는 글루코사민 및 황산콘드로이틴을 대조군으로 설정해 난각막의 무릎 골관절염 완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습니다.

그런데 잠깐, 여기서 궁금증이 생깁니다. 사실 각종 관절에 작용한다고 알려진 데다 이미 우리에게 친숙한 글루코사민, 콘드로이틴이라는 성분이 있고, 난각막에도 또한 동일한 성분이 이미 존재한다면, 굳이 이같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은 무엇인가 하는 점입니다.

사실 보완대체의학(CAMs,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s)의 관점에서 이같은 성분에 대한 연구가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미국 국립 의료원의 지원을 통해 진행된 GAIT(Glucosamine/chondroitin Arthritis Intervention Trial)은, 6개월 간 1600명에 가까운 피험자를 대상으로 해당 성분이 WOMAC 상 유의미한 변화를 이끌어내지 못했다는 결론[각주:4]으로 이어졌고, 글루코사민 성분의 효능만을 검증하고자 한 연구에서는 6개월 간 300명 이상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해당 성분이 약간의 증상 회복에는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여전히 WOMAC 점수 기준, 플라시보 군 대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는 결론[각주:5]으로 이어졌습니다. 요약하자면, 현재 건강기능식품으로 널리 쓰이는 글루코사민-콘드로이틴은 골관절염에 대한 치료 효과가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in 진료실] 무릎 관절 골관절염 평가 도구 WOMAC

전세계적인 슬관절염(膝關節炎)의 유병률은 약 16.0%이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률 또한 높아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55세 이상 연령층에서 25% 이상이 1년 이상 끊이지 않고 지속되는 무릎 관

dizarr.tistory.com

따라서 골관절염에 대해 보다 나은 증상 완화 효과를 가지는 새로운 물질에 대한 탐구는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연구진은 새로운 물질 후보로 난각막을 선택하였고, OPTION(Osteoarthritis Pain Treatment IncorpOrating NEM®) 연구를 수행한 것입니다. 

(이미지 : 해외에서 판매되는 Membrell, Redd Remedies Joint Health Natural Eggshell Membrane (NEM) - 90 Vegetarian Capsules)

이번 OPTION 연구는 다기관 이중맹검 디자인으로 설계되었으며, 플라시보 군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처치는 무작위로 나뉜 피험자 집단에 대해 8주 간, 일 1회 NEM® 복용 또는 일 1회 500mg 채소 캡슐을 복용하는 것(플라시보 군)으로 시행되었습니다. 피험자는 개정 ACR 진단 기준을 통해 Class I-III 단계에 해당하는 동시에 VAS 30mm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로 모집하였으며, 처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성분 복용 10일, 30일, 60일차 시점에서 경과를 관찰하였습니다. 연구 기간 중에도 피험자가 심한 통증을 느끼는 경우 아세트아미노펜(AAP)을 복용할 수 있도록 하는 대신, 이외의 기존 약물 복용은 중단(휴약( washout) 기간을 가짐) 되었습니다. 개정 ACR 진단 기준[각주:6]은 다음과 같습니다.

Class I Completely able to perform usu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elf-care, vocational, and avocational)
Class II Able to perform usual self-care and vocational activities, but limited in avocational activities
Class III Able to perform usual self-care activities, but limited in vocational and avocational activities
Class IV Limited in ability to perform usual self-care, vocational, and avocational activities
* Usual self-care activities include dressing, feeding, bathing, grooming, and toileting. Avocational (recreational and/or leisure) and vocational (work, school, homemaking) activities are patient-desired and age- and sex- specific.

치료 반응에 대한 평가를 위해 활용된 일차결과지표(Primary Outcome)는 WOMAC(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 Osteoarthritis Index)과 VAS(Visual Analogue Scale)입니다. 호전도를 알아보기 위해 활용된 것은 OMERACT-OARSI 기준(Outcome Measures in Rheumatology Clinical Trials - Osteoarthritis Research Society International Criteria) [각주:7]입니다. 골관절염 증상에 대해 해당 기준 이상의 호전도를 보였다면 증상이 호전되었다고 평가하고, 이같이 응답한 피험자의 비율을 산출하는 것입니다.

OMERACT–OARSI Set of responder criteria.
Mean treatment effect(%) in WOMAC scores from baseline by category in NEM-supplemented and control groups at 10, 30, and 60 days post-treatment

결과는 놀라웠습니다. 플라시보 군과 난각막 군의 차이는 통계학을 따로 배우지 않은 사람이라도 확실히 알 수 있을 정도로 크게 나타났습니다. WOMAC 총점을 기준으로 하더라도, 각 카테고리별 총점을 기준으로 하더라도 난각막의 효과가 뚜렷해보입니다. 8주 간의 처치를 모두 마친 후 시점인 60일차 시점에서도 효과는 크게 떨어지지 않고 유지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다만 시판되는 제품에 대한 연구 결과인 만큼, 본 연구 결과를 검토할 때는 Acknowledgements 및 Funding 부분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또, 피험자의 규모 자체도 많지 않기 때문에 각종 비뚤림(Bias)이 발생할 위험 또한 작지 않습니다. 이처럼 ITT(Intent-to-treat) 분석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 연구의 경우, 어느 정도의 데이터 마사지가 이루어졌을 가능성 또한 염두에 두어야 하므로 그 연구 결과를 순순히 받아들일 수만은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골관절염 관련 영양제 시장에서 글루코사민 성분이 가지는 독점에 가까운 지위를 고려한다면, 이번 연구는 새로운 다크호스의 등장 가능성을 시사하는 결과를 보여준다고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앞으로 난각막에 대한 추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겠습니다.


  1. Lawrence RC, Felson DT, Helmick CG et al (2008) Estimates of the prevalence of arthritis and other rheumatic conditions in the United States. Part II. Arthritis Rheum 58(1):26–35 [본문으로]
  2. Heidari B. Knee osteoarthritis prevalence, risk factors, pathogenesis and features: Part I. Caspian J Intern Med. 2011 Spring;2(2):205-12. PMID: 24024017; PMCID: PMC3766936. [본문으로]
  3. Ruff KJ, DeVore DP, Leu MD, Robinson MA. Eggshell membrane: a possible new natural therapeutic for joint and connective tissue disorders. Results from two open-label human clinical studies. Clin Interv Aging. 2009;4:235-40. doi: 10.2147/cia.s5797. Epub 2009 Jun 9. PMID: 19554094; PMCID: PMC2697588. [본문으로]
  4. Clegg DO, Reda DJ, Harris CL, Klein MA, O'Dell JR, Hooper MM, Bradley JD, Bingham CO 3rd, Weisman MH, Jackson CG, Lane NE, Cush JJ, Moreland LW, Schumacher HR Jr, Oddis CV, Wolfe F, Molitor JA, Yocum DE, Schnitzer TJ, Furst DE, Sawitzke AD, Shi H, Brandt KD, Moskowitz RW, Williams HJ. Glucosamine, chondroitin sulfate, and the two in combination for painful knee osteoarthritis. N Engl J Med. 2006 Feb 23;354(8):795-808. doi: 10.1056/NEJMoa052771. PMID: 16495392. [본문으로]
  5. Herrero-Beaumont G, Ivorra JA, Del Carmen Trabado M, Blanco FJ, Benito P, Martín-Mola E, Paulino J, Marenco JL, Porto A, Laffon A, Araújo D, Figueroa M, Branco J. Glucosamine sulfate in the treatment of knee osteoarthritis symptoms: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using acetaminophen as a side comparator. Arthritis Rheum. 2007 Feb;56(2):555-67. doi: 10.1002/art.22371. PMID: 17265490. [본문으로]
  6. Hochberg MC, Chang RW, Dwosh I, Lindsey S, Pincus T, Wolfe F. The 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 1991 revised criteria for the classification of global functional status in rheumatoid arthritis. Arthritis Rheum. 1992 May;35(5):498-502. doi: 10.1002/art.1780350502. PMID: 1575785. [본문으로]
  7. Pham T, van der Heijde D, Altman RD, Anderson JJ, Bellamy N, Hochberg M, Simon L, Strand V, Woodworth T, Dougados M. OMERACT-OARSI initiative: Osteoarthritis Research Society International set of responder criteria for osteoarthritis clinical trials revisited. Osteoarthritis Cartilage. 2004 May;12(5):389-99. doi: 10.1016/j.joca.2004.02.001. PMID: 15094138. [본문으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