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흥미로운 의학 이야기/in 진료실

[in 진료실] 무릎 관절 골관절염 평가 도구 WOMAC

반응형

전세계적인 슬관절염(膝關節炎)의 유병률은 약 16.0%이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률 또한 높아지는 경향을 보입니다.[각주:1] 55세 이상 연령층에서 25% 이상이 1년 이상 끊이지 않고 지속되는 무릎 관절의 통증을 호소하며, 약 10%는 통증으로 인한 기능 장애까지도 호소[각주:2]합니다. 이처럼 높은 발생률 및 유병률에도 불구하고 슬관절염에의 효율적이고 근본적인 치료는 관절 성형술(Arthroplasty) 외에는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각주:3] 다만, 증상이 극심하지 않은 경우 보존적 치료로 침·뜸 치료를 포함한 한방 치료[각주:4] 및 다양한 물리 치료[각주:5][각주:6][각주:7]가 치료에 충분히 활용될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 스테로이드 주사를 관절 내에 주사하는 경우도 있지만, 물리 치료가 스테로이드 주사 치료보다 우선된다는 연구 결과[각주:8]를 이미 소개드린 바 있습니다.

이처럼 높은 유병률과 다양한 치료 방법이 존재하는 슬관절염에 대한 통증 평가를 위해서는 주로 VAS(Visual Analogue Scale)가 활용되며, 기능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WOMAC(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 Osteoarthritis Index)이 사용[각주:9]됩니다. 

WOMAC 조사지는 통증 정도에 대한 5개 문항, 신체 활동에 대한 17개 문항 및 경직·강직도에 대한 2개 문항(총 24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험자는 각 문항에 대해 0~10점의 응답을 기록합니다. 증상이 심할수록 높은 점수가 기록됩니다.

WOMAC의 절단점(cut-off score)은 39점 이상일 경우 심한(severe) 정도의 슬관절염을 의미한다고 보고된 바[각주:10] 있습니다. 그러나 이 절단점이 임상 현장에서 활용되는 데 있어서는 해당 연구의 연구 시기를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치료 전후를 비교해 증상의 호전 정도를 평가하고자 하는 경우, 극소중요차이(MCE, Minimum Clinical Efficiency)는 20%입니다. 즉, WOMAC 각 하위 카테고리에 대해 점수가 20% 이상 감소한 경우 해당 증상 또는 기능이 호전되었다고 평가[각주:11]한다는 것입니다.

WOMAC은 2001년에 처음으로 한국어로 번역[각주:12]되었으며, 이후 타당도 및 신뢰도, 반응성에 대해 연구가 이루어진 바[각주:13] 있고, 해당 연구 결과를 게재한 논문의 부록에 WOMAC-VA3.0의 한글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Cui A, Li H, Wang D, Zhong J, Chen Y, Lu H. Global, regional prevalence,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knee osteoarthritis in population-based studies. EClinicalMedicine. 2020 Nov 26;29-30:100587. doi: 10.1016/j.eclinm.2020.100587. PMID: 34505846; PMCID: PMC7704420. [본문으로]
  2. Peat G, McCarney R, Croft P. Knee pain and osteoarthritis in older adults: a review of community burden and current use of primary health care. Ann Rheum Dis. 2001 Feb;60(2):91-7. doi: 10.1136/ard.60.2.91. PMID: 11156538; PMCID: PMC1753462. [본문으로]
  3. Bannuru RR, Osani MC, Vaysbrot EE, Arden NK, Bennell K, Bierma-Zeinstra SMA, Kraus VB, Lohmander LS, Abbott JH, Bhandari M, Blanco FJ, Espinosa R, Haugen IK, Lin J, Mandl LA, Moilanen E, Nakamura N, Snyder-Mackler L, Trojian T, Underwood M, McAlindon TE. OARSI guidelines for the non-surgical management of knee, hip, and polyarticular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Cartilage. 2019 Nov;27(11):1578-1589. doi: 10.1016/j.joca.2019.06.011. Epub 2019 Jul 3. PMID: 31278997. [본문으로]
  4. Ye C, Zhou J, Wang M, Xiao S, Lv A, Wang D. The Effectiveness Comparison of Different Acupuncture-Related Therapies on Knee Osteoarthritis: A Meta-Analysi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22 Jun 30;2022:2831332. doi: 10.1155/2022/2831332. PMID: 35815282; PMCID: PMC9262549. [본문으로]
  5. Rabini A, Piazzini DB, Tancredi G, Foti C, Milano G, Ronconi G, Specchia A, Ferrara PE, Maggi L, Amabile E, Galli M, Bernabei R, Bertolini C, Marzetti E. Deep heating therapy via microwave diathermy relieves pain and improves physical function in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a double-blind randomized clinical trial. Eur J Phys Rehabil Med. 2012 Dec;48(4):549-59. Epub 2012 Jul 23. PMID: 22820824. [본문으로]
  6. Karakaş A, Dilek B, Şahin MA, Ellidokuz H, Şenocak Ö. The effectiveness of pulsed ultrasound treatment on pain, function, synovial sac thickness and femoral cartilage thickness in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a randomized, double-blind clinical, controlled study. Clin Rehabil. 2020 Dec;34(12):1474-1484. doi: 10.1177/0269215520942953. Epub 2020 Jul 27. PMID: 32715744. [본문으로]
  7. Pietrosimone B, Luc-Harkey BA, Harkey MS, Davis-Wilson HC, Pfeiffer SJ, Schwartz TA, Nissman D, Padua DA, Blackburn JT, Spang JT. Using TENS to Enhance Therapeutic Exercise in Individuals with Knee Osteoarthritis. Med Sci Sports Exerc. 2020 Oct;52(10):2086-2095. doi: 10.1249/MSS.0000000000002353. PMID: 32251254. [본문으로]
  8. Deyle GD, Allen CS, Allison SC, Gill NW, Hando BR, Petersen EJ, Dusenberry DI, Rhon DI. Physical Therapy versus Glucocorticoid Injection for Osteoarthritis of the Knee. N Engl J Med. 2020 Apr 9;382(15):1420-1429. doi: 10.1056/NEJMoa1905877. PMID: 32268027. [본문으로]
  9. Dougados M. Monitoring osteoarthritis progression and therapy. Osteoarthritis Cartilage. 2004;12 Suppl A:S55-60. doi: 10.1016/j.joca.2003.09.009. PMID: 14698644. [본문으로]
  10. Wright JG, Young NL. The patient-specific index: asking patients what they want. J Bone Joint Surg Am. 1997 Jul;79(7):974-83. doi: 10.2106/00004623-199707000-00003. PMID: 9234873. [본문으로]
  11. Clement ND, Bardgett M, Weir D, Holland J, Gerrand C, Deehan DJ. What is the Minimum Clinically Important Difference for the WOMAC Index After TKA? Clin Orthop Relat Res. 2018 Oct;476(10):2005-2014. doi: 10.1097/CORR.0000000000000444. Erratum in: Clin Orthop Relat Res. 2020 Apr;478(4):922. PMID: 30179956; PMCID: PMC6259858. [본문으로]
  12. Bae SC, Lee HS, Yun HR, Kim TH, Yoo DH, Kim SY. Cross-cultural adaptation and validation of Korean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 (WOMAC) and Lequesne osteoarthritis indices for clinical research. Osteoarthritis Cartilage. 2001 Nov;9(8):746-50. doi: 10.1053/joca.2001.0471. PMID: 11795994. [본문으로]
  13. Yi SJ, Lee HJ, Woo YK.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 Osteoarthritis Index (WOMAC)-VA3.0 in Hip and Knee Osteoarthritis Patients. Phys. Ther. Korea. 2008 May;15(2):20-29. [본문으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