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yu YR, Kim KI, Yang C, Jung SY, Kwon OJ, Jung HJ, Lee JH, Lee BJ. Efficacy and Safety of Ojeok-San Plus Saengmaek-San for Gastroesophageal Reflux-Induced Chronic Cough: A Pilot,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Front Pharmacol. 2022 Mar 1;13:787860. doi: 10.3389/fphar.2022.787860. PMID: 35300295; PMCID: PMC8923584.

만성 기침(Chronic Cough)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흔히 역류성 식도염으로 대표되는 위식도역류질환(GER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이며, 만성 기침의 다양한 원인 중 위식도역류질환이 차지하는 비중은 적게는 10%, 많게는 40%까지 집계 1됩니다. 이처럼 위식도역류질환으로 인해 야기된 만성 기침(GERC, GERD-induced chronic cough)은 흔히 PPIs(Proton Pump Inhibitors), H2-수용체 길항제(H2-receptor antagonists) 등의 항역류(Anti-reflux) 약물에 잘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그 치료도 매우 까다운 편 2입니다. 3
이같은 질환은 이미 유효한 경험 사례가 축적된 한의학적 접근이 보다 효과적인 치료법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게다가, 연구진은 지난 2017년에도 오적산(五積散)-생맥산(生脈散) 합방을 GERC에 응용해 긍정적인 결과를 얻기도 하였으므로 이번 연구는 시작부터 아주 합리적인 단계를 밟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본 연구는 플라시보 대조군을 두고 단일 기관에서 시행된 평행군 파일럿 연구(pilot,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parallelarm, single-center clinical trial)로, 경희대학교 한방병원에서 2018년 12월부터 2021년 5월까지 수행되었습니다. 총 3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이번 연구에서, 연구진은 오적산-생맥산 합방(合方)군과 플라시보군을 1:1 비율로 나누어(1:1 allocation) 8주 간의 경과를 관찰하였습니다.
증상 평가를 위해 활용된 도구 중 일차결과지표(Primary Outcome)는 기침증상점수(CDS, Cough Diary Score)였습니다. CDS는 자기보고식(Self-report) 질문으로, 기침의 심각도와 빈도를 각각 0~4점으로 평가해 높은 점수일수록 심한 증상을 나타내도록 정량화한 평가 척도입니다. 4

연구진은 GERC 환자를 대상으로 총 6주 간 오적산-생맥산의 합방 처방 효과를 관찰하였고, 4주 후 CDS에서 위약 대비 유의한 증상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주간 기침 증상은 4주차 및 6주차 모두에서 위약군 대비 유의한 정도의 개선 효과를 보였습니다. 이외의 시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가 아니었을 뿐 위약군 대비 증상 개선 효과가 뛰어났다는 사실을 그래프를 통해 살펴볼 수 있습니다.
CDS 외의 이차결과지표(Secondary Outcome)로 Cough VAS, LCQ-K(Leicester Cough Questionnaire–Korean Version), HARQ(Hull Airway Reflux Questionnaire), GSRS(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 등이 활용되었고, 전반적으로 오적산-생맥산 합방군에서 보다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논문 본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본 연구의 한계점은 인원 모집의 과정 등 일부 부분에 한계가 있음을 연구진들 역시 인지하고 있습니다. 다음 RCT는 보다 큰 규모로 시행하는 동시에 보다 세분화된 결과 지표를 사용하고, 만성 기침과 연관성이 있는 보다 많은 경우의 수를 배제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연구 결과 플라시보 군에서도 GERC에 대한 상당한 증상 완화 효과가 나타났는데, 기침 증상과 관련해 플라시보 군 또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다양한 가설이 이미 제시되어있는 만큼 이같은 부분이 연구의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 있는 부분은 아닙니다. 5
이번 연구에서 다룬 GERC는 GERD로 인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GERD에 대해 흔히 사용되는 약물들이 잘 듣지 않는다는 점이 큰 특징입니다. 이같은 경우에는 과거부터 누적되는 임상에서의 경험적 지식이 요긴하게 쓰일 수 있는데, 이번 연구가 과거의 지식을 현대적인 과학적 틀에 맞추어 재정립해나간다는 과정 자체 또한 적지 않은 의미를 가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Chung KF, Pavord ID. Prevalence, pathogenesis, and causes of chronic cough. Lancet. 2008 Apr 19;371(9621):1364-74. doi: 10.1016/S0140-6736(08)60595-4. PMID: 18424325. [본문으로]
- Morice AH, Kastelik JA. Cough. 1: Chronic cough in adults. Thorax. 2003 Oct;58(10):901-7. doi: 10.1136/thorax.58.10.901. PMID: 14514949; PMCID: PMC1746472. [본문으로]
- Xu X, Lv H, Yu L, Chen Q, Liang S, Qiu Z. A stepwise protocol for the treatment of refractory gastroesophageal reflux-induced chronic cough. J Thorac Dis. 2016 Jan;8(1):178-85. doi: 10.3978/j.issn.2072-1439.2016.01.50. PMID: 26904227; PMCID: PMC4740156. [본문으로]
- Ours TM, Kavuru MS, Schilz RJ, Richter JE. A prospective evaluation of esophageal testing and a double-blind, randomized study of omeprazole in a diagnostic and therapeutic algorithm for chronic cough. Am J Gastroenterol. 1999 Nov;94(11):3131-8. doi: 10.1111/j.1572-0241.1999.01504.x. PMID: 10566703. [본문으로]
- Eccles R. The Powerful Placebo Effect in Cough: Relevance to Treatment and Clinical Trials. Lung. 2020 Feb;198(1):13-21. doi: 10.1007/s00408-019-00305-5. Epub 2019 Dec 13. PMID: 31834478; PMCID: PMC7012959.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