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흥미로운 의학 이야기/work-out

[work-out] 회전근개란?

반응형

견관절은 인체에서 가장 가동 범위가 넓은 관절입니다. 움직이는 방향도 매우 다양하며, 움직일 수 있는 각도도 매우 넓은 편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견관절을 지지해 견관절의 넓은 가동 범위를 보장해주는 역할을 하는 근육군이 바로 회전근개(回轉筋蓋, Rotator Cuff)입니다. 회전근개는 총 4개의 근육으로 구성되는데, 극상근(Supraspinatus), 극하근(Infraspinatus), 견갑하근(Subscapularis), 소원근(Teres minor)이 그것입니다. 엄밀히 말해 각 근육들은 모두 각자의 생리·병리를 가지지만, 일반적인 상황에서 회전근개는 하나의 단위(Unit)으로 생각하여도 무방할 정도로 움직임에 있어 상호 의존도가 큽니다.

회전근개의 구성과 역할, 그리고 손상

Anatomy of rotator cuff (Micallef et al., 2019)

(image from Micallef et al., 2019[각주:1])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회전근개는 총 4개의 근육으로 구성됩니다. 극상근(Supraspinatus), 극하근(Infraspinatus), 견갑하근(Subscapularis), 소원근(Teres minor)이 그것입니다. 이 4개의 근육이 하나의 단위(Unit)처럼 움직여 어깨 관절에서 팔을 안과 밖으로 돌리는 기능을 하며, 가동 범위 내에서 위팔뼈(Humerus)를 고정하고 관절 내의 안정성을 부여합니다. 이처럼 회전근개가 다양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은 다시 말하면, 회전근개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 모든 기능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발생한다는 점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야구와 같이 어깨를 많이 사용하는 운동을 하는 경우, 조직에 무리한 부하가 걸리거나 과사용으로 인한 손상이 발생하는 등 회전근개가 손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많은 야구 선수들이 회전근개 부상으로 기량이 저하되곤 합니다. 이는 결코 프로 선수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취미로 야구를 즐기는 많은 일반인들에서도 발생하는 부상인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오랜 기간 집안일을 담당해온 50대 이상의 여성 역시 회전근개에 문제가 생긴 경우가 많습니다. 과사용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관절 및 주변 근육에 피로가 축적된 결과, 만성적인 통증이 발생한 경우입니다. 위의 경우가 아니더라도, 어깨와 팔을 많이 사용한다면 그 누구에게라도 발생할 수 있는 것이 회전근개 부상입니다.

회전근개 손상의 종류

'회전근개'라는 단어 자체가 하나의 근육이 아닌, 여러 근육을 모아 칭하는 용어이기 때문에 회전근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의 종류 역시 매우 다양합니다. 그 중 대표적인 몇 가지를 꼽아보고자 합니다.

격렬한 활동으로 인해 급성적으로 극심한 통증이 발생한 경우라면, 회전근개 파열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앉아있을 때보다 누워있을 때 오히려 통증이 심해지는 양상을 보이며 수면에 크게 지장이 발생한다면 더욱 그 가능성이 큽니다. 경우에 따라 수술적 처치가 필요할 수도 있기 때문에 증상의 경중에 관계없이 즉각적인 진료가 필요한 경우입니다. 파열의 정도가 심하지 않더라도 제대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아 증상이 만성화되는 경우, 관절 내시경 등 수술적 처치가 필요하게 될 수 있습니다.

(image from Mohammed et al., 2016[각주:2]) 견관절 충돌 증후군(Impingement Syndrome)은 회전근개와 견봉(Acromion)의 충돌로 인해 염증이 발생하는 경우이며, 이 염증으로 인해 점액낭이 붓고 견봉이 아래로 돌출됩니다. 원래 점액낭은 관절과 근육 사이에서 마치 윤활유와 같이 마찰을 최소화시켜 관절 운동을 부드럽게 하는 기능을 담당하는데, 점액낭이 붓게되면 기능적인 부분에도 문제가 발생하므로 증상이 계속해서 악화되며, 견봉하점액낭염(肩峰下粘液囊炎, Subacromial Bursitis)이 발생하는 등 일종의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견관절 충돌 증후군은 흔히 연령층 및 증상에 따라 세 단계로 구분됩니다.

  • 1단계 : 대개 25세 이하, 활동적인 환자들이 어깨를 무리하게 사용해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주 통증 부위는 어깨 앞쪽.
  • 2단계 : 대개 25~40세에서 발생, 통증이 반복되며 섬유화(fibrosis)가 같이 진행되는 경우. 심한 경우 수술이 필요.
  • 3단계 : 대개 40세 이상, 회전근개 파열 등으로 진행된 경우가 많으므로 수술적 처치가 권장됨.

견관절 충돌 증후군은 팔을 어깨보다 위에서 자주 사용하는 경우 발생 가능성이 더욱 높아집니다. 청소·도배 등의 업무 내지는 야구·배드민턴 등의 운동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어깨가 앞으로 굽은 라운드 숄더(Rounded Shoulder)와 같이 잘못된 자세에서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져 치료 및 예방을 위해 어깨 부위 자세 교정 밴드(Shoulder brace) 등이 활용되기도[각주:3] 합니다. 

흔히 '오십견'이라 불리는 동결견(Frozen shoulder)은 특별한 외상 없이도 노화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견관절 주변 연부 조직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발병 원인에 대해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과사용으로 인해 발생한 점액낭염(Bursitis), 건염(Tendinitis) 등에 수반되어 주위 조직에 염증이 발생하고, 이것이 동결견으로 이어진다[각주:4]고 알려져 있습니다. 수술 등 가동 범위가 제대로 확보되지 않는 상태를 장기간 유지하는 경우 역시 동결견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동결견은 통증(Pain)과 강직(Stiffness)을 동반하며, 시기에 따라 주된 증상이 달라지므로 주의를 요합니다.

초기 약 3개월 간은 통증기(1기, Freezing stage)로, 어깨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통증이 발생하며 통증의 정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증가합니다. 이 시기에 관절 가동 범위가 서서히 좁아지는데, 대개 통증이 주요 증상이기 때문에 따로 신경쓰지 않는다면 가동 범위에 대해서는 잘 인지하지 못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흔합니다. 이후 약 1년에 걸쳐 동결기(2기, Frozen stage)가 진행되며, 이 시기에는 만성적인 통증에 더해 관절의 수동 가동 범위 또한 좁아지는 양상을 보입니다. 다만 별다른 치료 없이도 어깨를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을 때의 통증은 완화되므로, 활동량만 줄이고 별다른 치료 없이 이 시기를 지나보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후의 시기(3기, Thawing stage)에서는 통증이 경미해지고 관절 가동 범위가 다소 넓어지지만, 이환 이전과 같이 가동 범위가 완전히 회복되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이같은 관절 가동 범위를 극복하고자 팔을 넓게 움직이는 경우에도 통증이 발생합니다.

오십견은 위에서 다룬 회전근개 파열, 견관절 충돌 증후군 등 이전에 견관절 주변 조직에 손상이 있었던 경우 발생 확률이 비교적 높으며, 당뇨 및 갑상선 기능 항진·저하증, 심혈관계 질환 등이 있는 경우에도 보다 유병률이 높아진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각주:5] 다양한 환경에서 오십견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만큼 유병률이 높게는 5.3%까지 보고[각주:6]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다양한 치료법에 대해서도 꾸준한 연구가 진행 중[각주:7][각주:8][각주:9]입니다.

견관절 정상 가동 범위(ROM, Range of Motion)

결국 회전근개 손상과 관련한 많은 질환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통증강직 두 가지입니다. 강직은 곧 가동 범위 제한이며, 의료인의 입장에서는 통증과 같이 가동 범위 또한 같이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다음은 견관절의 정상 가동 범위[각주:10]입니다.

  • 외전(Abduction) : 150~180˚
  • 내전(Adduction) : 40~60˚
  • 굴곡(Flexion) : 150~180˚
  • 신전(Extension) : 50~60˚
  • 외회전(Lateral Rotation) : 40~50˚(외전 각도 0˚) / 60~90˚(외전 각도 90˚)
  • 내회전(Medial Rotation) : 90˚(외전 각도 0˚) / 50~70˚(외전 각도 90˚)
  • 수평 외전(Horizontal Abduction) : 45˚(외전 각도 90˚)
  • 수평 내전(Horizontal Adduction) : 130˚(외전 각도 90˚)

또한, 환자가 요부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ODI, RMDQ 등의 평가 도구를 사용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환자가 견부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SPADI(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DASH(The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등이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는 나중에 보다 자세히 다루어보겠습니다. 


  1. Micallef J, Pandya J, Low AK. Management of rotator cuff tears in the elderly population. Maturitas. 2019 May;123:9-14. doi: 10.1016/j.maturitas.2019.01.016. Epub 2019 Jan 31. PMID: 31027684. [본문으로]
  2. Abou Elmagd, Mohammed. (2016). Common sports inju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Ph y sical Education , Sports and Health. 3. 142-148. [본문으로]
  3. Chiu YC, Tsai YS, Shen CL, Wang TG, Yang JL, Lin JJ. The immediate effects of a shoulder brace on muscle activity and scapular kinematics in subjects with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and rounded shoulder posture: A randomized crossover design. Gait Posture. 2020 Jun;79:162-169. doi: 10.1016/j.gaitpost.2020.04.028. Epub 2020 May 4. PMID: 32416434. [본문으로]
  4. Harvard Medical School, How to release a frozen shoulder, https://www.health.harvard.edu/pain/how-to-release-a-frozen-shoulder [본문으로]
  5. Mayo Clinic, Frozen shoulder,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frozen-shoulder/symptoms-causes/syc-20372684 [본문으로]
  6. Kelley MJ, Shaffer MA, Kuhn JE, Michener LA, Seitz AL, Uhl TL, Godges JJ, McClure PW. Shoulder pain and mobility deficits: adhesive capsulitis. J Orthop Sports Phys Ther. 2013 May;43(5):A1-31. doi: 10.2519/jospt.2013.0302. Epub 2013 Apr 30. PMID: 23636125. [본문으로]
  7. Page MJ, Green S, Kramer S, Johnston RV, McBain B, Chau M, Buchbinder R. Manual therapy and exercise for adhesive capsulitis (frozen shoulder).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4 Aug 26;(8):CD011275. doi: 10.1002/14651858.CD011275. PMID: 25157702. [본문으로]
  8. Buchbinder R, Green S, Youd JM, Johnston RV, Cumpston M. Arthrographic distension for adhesive capsulitis (frozen shoulder).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8 Jan 23;(1):CD007005. doi: 10.1002/14651858.CD007005. PMID: 18254123. [본문으로]
  9. Page MJ, Green S, Kramer S, Johnston RV, McBain B, Buchbinder R. Electrotherapy modalities for adhesive capsulitis (frozen shoulder).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4 Oct 1;(10):CD011324. doi: 10.1002/14651858.CD011324. PMID: 25271097. [본문으로]
  10. Dutton M. Orthopaedic Examination, Evaluation, and Intervention, 2nd ed. Philadelphia, PA: McGraw Hill; 2008. [본문으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