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끄적끄적

180527

반응형

기기묘묘하다. 반상(盤上)에 놓인 돌을 보면, 사람이 보인다.

바둑은 조금만 배워도 기풍(氣風)이 생긴다. 단단한 세력을 쌓아 힘으로 상대를 찍어누르는 기풍, 차곡차곡 실리를 쌓아 교묘히 승리만을 취하고자 하는 기풍, 여기저기 곳곳에 난전을 만들며 판 전체를 뒤흔들어놓는 기풍, 여기저기서 겉멋만 들어 허세 가득한 기풍 등등등등등.

얼굴을 가리고 바둑을 두어도 맞둔 적 있는 사람은 안다. 한 수 한 수에 그 사람의 성향과 성격이 드러난다. 판이 끝날 듯 격렬하게 맞붙는 순간에도 극적인 타협책을 찾아 끝까지 바둑을 이끌어가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한 번 시작한 사소한 싸움으로 끝을 본다며 매 대국(對局)마다 밥 먹듯 대마(大馬) 수상전(手相戰)을 벌이는 사람도 있다.

어릴 적에, 바둑을 한창 배우던 시절에, 매일 열 시간 넘게 바둑학원에 자리를 깔고 앉아 몇 국(局)이고 바둑을 두고 있으면 사범님께서 옆에서 슬쩍 슬쩍 국면(局面)을 살펴보시고는 도돌이표처럼 같은 말씀을 하셨었다.

바쁘다. 발빠른 바둑은 좋지만 허겁지겁 바쁜 바둑은 좋은 바둑이 아니다. 바쁘면 느슨해지고, 느슨해지면 힘이 없다. 여기저기 재미는 다 보고 정작 바둑을 진다. 급하다. 마음이 급하니 손이 급해진다. 손이 급하면 반드시 그르친다. 실리바둑이든 세력바둑이든 한 국(局)에 한 번은 맞붙는 것이 바둑인데, 힘이 없으니 싸우지를 못한다. 정작 힘을 내야할 시점에 주도권을 놓치는 것이다.

가끔 생각이 급해 손이 경솔히 나갈 때면, 사범님은 내게 한 수를 둘 때마다 꼭 팔짱을 끼라고 잔소리하셨다. 한 손에 바둑돌을 쥐고 있다가 상대방의 착점(着點)과 동시에 착수(着手)하는 것보다야 팔짱을 풀고 바둑돌을 손에 올리는 1초라도 생각을 더 하고 두라는 뜻이었다. 신기하게도, 팔짱을 끼고 바둑을 두자 급수가 순식간에 네 단계 올라갔었다.

포석이 마무리될 즈음 국면을 빠르게 훑는다. 주먹구구 계가(計家)도 한 번 해보고, 요석(要石)과 폐석(廢石)을 다시 나눠보고, 천천히 팔짱을 낀다.

당장에야 폐석처럼 보이는 돌도 상대가 예상 못한 시점에 움직여 나오면서 뒷맛을 노려볼 수 있고, 요석으로 보이는 돌도 자체로 움직이기보다 빠르게 사석(死石) 작전으로 이어나가는 편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적진에 뛰어들 때는 침투(浸透)와 삭감(削減) 중 무엇을 택할지 고민해야 한다. 무리한 침투는 상대의 경쾌하고 통렬한 행마(行馬)를 돋보이게 할 뿐이고, 소심한 삭감은 불리한 국면을 뒤집어놓기에 부족할 수 있다. 기분으로 바둑을 두면 그르친다. 기분 좋게 두 점 머리 두들기려다가 절호점(絶好點)을 놓치는 수가 있다. 우하귀에서 벌어지는 전투의 승패가 저 멀리 반대편 좌상귀의 배석(排石)에 달려있는 일은 흔하디 흔한 일이다. 이전에 잘못 둔 수에 집착해서는 안 된다. 결국 승부에 모든 것이 달려있다. 잘못 두어진 수가 있더라도 이기면 완착(緩着) 내지 실착(失着)이 될 뿐이나, 판을 지면 패착(敗着)이 되고야 마는 것이다.

바둑이 그렇다. 돌이 놓인대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고, 생각하는대로 두어야 이긴다.

그렇게 그렇다. 바둑이 그렇다. 참 기묘한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