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흥미로운 의학 이야기

이진탕, 장(腸)내 환경 조절 통한 대사질환 개선 효과

반응형
Lee JE, Lee SM, Jung J. Integrated omics analysis unraveled the microbiome-mediated effects of Yijin-Tang on hepatosteatosis and insulin resistance in obese mouse. Phytomedicine. 2020 Dec;79:153354. doi: 10.1016/j.phymed.2020.153354. Epub 2020 Sep 21. PMID: 32992082.

최근 비만·비알코올성지방간 등 대사질환의 병리 기전에 장내미생물균이 연관을 가진다는 보고가 이어지는 추세입니다. 이진탕(二陳湯, Er-Chen decoction, Nichin-to)은 반하(半夏), 진피(陳皮), 적복령(赤茯苓), 자감초(炙甘草), 생강(生薑)으로 구성되어 습담(濕痰)으로 변증되는 다양한 대사질환(지방간, 고혈압 등)에 활용되는 처방입니다. 연구진은 대사질환 개선을 위해 활용되는 이진탕의 약리기전을 알아보고자 이번 동물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실험에 사용된 쥐는 6주령 C57BL/6J로, 총 54마리의 쥐가 일반식이(NC)군(11), 고지방식이(HFHC)-운동대조군(10), 고지방식이-ROS대조군(9), 고지방식이-저용량(50mg/kg/day)이진탕(YL)(12), 고지방식이-고용량(100mg/kg/day)이진탕(YH)(12)의 5개 군으로 나뉘었습니다. 그리고 이후 일반식이-고용량이진탕군(8)이 추가되었습니다. 이후 채취된 간 조직과 장 조직에서는 각각 지질 분석 및 장내 미생물균 분석이 이루어졌습니다. 

이진탕의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

Figure 1. The changes of (B) OGTT and AUC, and (C) insulin concentrations.

경구 포도당 부하 검사(OGTT, Oral Glucose Tolerance Test) 결과입니다. 예상대로 HFHC군의 혈당 수치는 NC군의 혈당 수치보다 높았는데, HFHC-이진탕 투여군에서는 유의하게 낮은 혈당 수치를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HFHC군에서 NC군 대비 인슐린 수치가 2.4배 높게 나타난 반면 고용량 이진탕 투여군에서는 인슐린 수치 또한 현저히 낮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이진탕 투여군에서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이진탕의 지방간 개선 효과

Figure 1. (D) H&E staining, (E) AST concentration, and (F) ALT concentration represent the liver injury status.

조직 염색(H&E staining)을 통해 지방간의 형태학적 변화를 살펴보았습니다. HFHC군에서 유도된 간 손상 대비 이진탕 투여군에서의 지방(흰 반점)이 현저히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혈액검사 결과, 흔히 '간 수치'라 불리는 AST와 ALT에도 차이가 있었습니다. NC군 대비 HFHC군에서 확연히 높은 수치를 보인 반면 이진탕 투여군(YL, YH)은 현저히 낮은 수치를 보인 것입니다.

균형의 정도를 볼 수 있어 생체불균형(dysbiotic)의 지표 중 하나로 불리는 Firmicutes/Bacteroidetes 비의 증가는 일반적으로 비만과 비알코올성 지방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문(門) 수준에서 장내 미생물군을 살펴보았을 때, 예상대로 NC군에서는 Bacteroidetes가 우세하였으나 HFHC군에서는 Firmicutes가 우세하게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이같은 장내 미생물군 변화는 이진탕 투여를 통해 용량 의존적으로(dose-dependent manner) 복구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를 정량화하면, HFHC군 대비 이진탕 투여군에서 약 2.2배까지 감소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각종 대사질환은 동맥경화 등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치명적인 증상과의 연관성 또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를 고려한다면 당뇨나 간 경화가 일어나기 이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이진탕의 활용 가능성이 유용할 것으로 보이고, 뿐만 아니라 유전자 수준에서 동맥경화 경감 효과를 예측한 네트워크 약리 분석 연구 결과1도 있는만큼, 이진탕은 임상에서 두루 활용할 수 있는 처방으로 보입니다.


  1. A Yeong Lee, Jin Mi Chun. (2017). Prediction of efficacy of the compounds and atherosclerosis target gene in Yijin-tang based on network pharmacology. Korean Herbal Medicine Informatics, 5(3), 31-42.
반응형